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통신설비기능장
- VMware 사용법
- web
- 가상머신
- 프로그래밍
- IT
- 콘솔(console)
- 클라우드컴퓨팅
- Debian 설치
- inter-vlan
- VLAN
- MS Azure 체험
- packtracer
- 특성화고
- 통신설비기능장 실기
- RIP
- 원격접속(telnet)
- 가상머신 추가
- 사이버 보안
- 가상머신 삭제
- Vmware
- 대양고등학교
- 네트워크
- 통신설비
- 통신설비기능장 샘플문제
- trunk port
- 부산
- dhcp
- Azure체험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Educational Materials (25)
JY Academy

서버(Server) : 의뢰한 서비스를 처리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 클라이언트(Client) : 서비스를 요청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 미디어(Media) :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연결시켜주는 장치(ex. 스위치, 라우터, UTP 케이블 등) 프로토콜(Protocol) : 약속된 같은 언어 또는 규칙으로 서로 통신(대화)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 서비스(Service) :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필요한 기능을 제공 해주는 것(Web, DNS, DHCP, Mail 등) ▶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케이블로 연결된 모든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(Network Interface Controller, NIC) 라는 하드웨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. [위키백과-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] h..
Educational Materials/네트워크(CCNA)
2021. 1. 23. 19:5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