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Debian 설치
- 가상머신 삭제
- 통신설비기능장 샘플문제
- 통신설비기능장 실기
- IT
- 프로그래밍
- VMware 사용법
- Azure체험
- dhcp
- 통신설비
- VLAN
- 부산
- Vmware
- 가상머신 추가
- trunk port
- 특성화고
- 가상머신
- 네트워크
- RIP
- 사이버 보안
- 통신설비기능장
- web
- 대양고등학교
- packtracer
- inter-vlan
- 클라우드컴퓨팅
- 콘솔(console)
- MS Azure 체험
- 원격접속(telnet)
- Today
- Total
JY Academy
(정보기기운용기능사) 지필형 예상 출제 문제 정리 본문
[객관식 문제]
1. VLA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할 수 있다.
② VLAN 번호는 일부 예약되어 있다.
③ VLAN은 네트워크 부하 집중을 유발한다. ✅
④ 논리적 네트워크 분리를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킨다.
>> VLAN 은 트래픽을 줄여주고 브로드캐스트(부하)를 줄여준다. VLAN은 트래픽을 분산시키고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어 부하를 줄이는 기술입니다. 따라서 부하 집중을 유발한다는 설명은 틀림.
2. 파일 전송 프로토콜의 약자는?
① FTP ✅
② TFTP
③ SNMP
④ SMTP
>> FTP(File Transfer Protocol)는 파일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.
3. IP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기술은?
① NAT ✅
② DNS
③ DHCP
④ RIP
>>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는 사설 IP ↔ 공인 IP 변환으로 IP 고갈 문제를 완화하고 내부망을 보호.
4. 터널링과 보안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은?
① VPN ✅
② VLAN
③ FTP
④ ICMP
>> VPN(Virtual Private Network)은 인터넷 상에서 암호화된 터널을 만들어 보안 통신을 가능하게 함.
5. 전송계층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TCP와 UDP가 있다.
②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.
③ 신뢰성 있는 전송만 제공한다. ✅
④ 흐름제어와 오류제어 기능이 있다.
>> 전송 계층은 TCP(신뢰성 有) 와 UDP(신뢰성 無, 비연결형) 두 가지를 포함합니다. 따라서 “신뢰성 있는 전송만 제공한다”는 잘못된 설명.
6. TCP와 UDP가 속하는 OSI 계층은?
① 네트워크 계층
② 전송 계층 ✅
③ 세션 계층
④ 응용 계층
>> TCP/UDP는 프로세스 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전송 계층(4계층) 프로토콜.
7. 라우팅 프로토콜 중 수렴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?
① RIP
② OSPF ✅
③ BGP
④ IGRP
>> RIP은 홉카운트 기반, 느리고, BGP는 대규모 인터넷용으로 무겁습니다. OSPF는 링크 상태 기반으로 빠른 수렴 속도를 가짐.
8.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 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?
① MAC 주소 ✅
② IP 주소
③ DNS 주소
④ 게이트웨이 주소
>> 네트워크 카드의 고유 식별자인 MAC 주소가 있어야 IP 등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.
9. CentOS에서 서비스 관리와 관련 없는 명령어는?
① chkconfig
② mount ✅
③ service
④ systemctl
>> mount는 디스크 파일 시스템 마운트 명령어로 서비스 관리와 무관.
10. 라우터 이중화를 위한 프로토콜은?
① HSRP ✅
② RIP
③ STP
④ FTP
>> HSRP(Hot Standby Router Protocol)는 시스코의 라우터 이중화 프로토콜로, 장애 시 백업 라우터가 자동 승계.
11. 사용자가 서버 구축 없이 소프트웨어를 제공받는 클라우드 모델은?
① IaaS
② PaaS
③ SaaS ✅
④ DaaS
>> SaaS(Software as a Service)는 Gmail, MS Office 365처럼 설치 없이 클라우드에서 바로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.
12. 네트워크 유지보수 요구사항 접근의 올바른 순서
① 요구사항 → 추출 → 명세 → 검증 → 확정
② 추출 → 요구사항 → 명세 → 검증 → 확정 ✅
③ 검증 → 명세 → 요구사항 → 추출 → 확정
④ 명세 → 검증 → 요구사항 → 추출 → 확정
13. 물리적 보안 대책으로 부적절한 것은?
① 출입통제
② CCTV 설치
③ 케이블 잠금장치
④ SSH 접속 보안 ✅
>> 물리적 보안은 출입통제, CCTV, 장비 잠금 등 물리적 보호 조치. SSH는 소프트웨어적(논리적) 보안이므로 정답.
14. 플래시 메모리의 특징은?
① 휘발성 메모리
② 비휘발성 메모리 ✅
③ 순차 접근 방식
④ 자기 테이프 방식
>> 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.
15. 다음 중 무선 보안 매칭이 올바른 것은?
① 키 관리 - WPA ✅
② 인증 - DNS
③ 암호화 - ARP
④ 접근 제어 - RIP
16. OSI 7계층 중 라우터가 동작하는 계층은?
① 데이터링크 계층
② 네트워크 계층 ✅
③ 전송 계층
④ 물리 계층
>> 라우터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므로 네트워크 계층(3계층) 장비.
17. DHCP의 역할로 올바른 것은?
①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한다. ✅
②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한다.
③ 패킷을 암호화한다.
④ 호스트 간 연결을 보장한다.
>> DHCP 서버는 호스트가 부팅 시 자동으로 IP, 게이트웨이, DNS를 할당.
18. TCP 프로토콜의 특징이 아닌 것은?
① 연결 지향적이다.
② 흐름 제어가 가능하다.
③ 오류 제어를 수행한다.
④ 전송 속도가 UDP보다 빠르다. ✅
>> TCP는 신뢰성을 보장하는 대신 속도가 느리고, UDP는 빠르지만 신뢰성이 없음.
19.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의 주요 기능은?
①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 ✅
②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
③ 경로 정보를 교환
④ 무선 신호를 암호화
>> NAT는 내부 사설망과 외부 공인망 간 주소 변환을 담당.
20. HTTPS에서 사용하는 기본 포트 번호는?
① 20
② 21
③ 80
④ 443 ✅
>> HTTP → 80, HTTPS → 443, FTP → 20/21, SSH → 22.
21. 클라우드 서비스 중 사용자가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같은 인프라만 빌려 쓰고, OS와 애플리케이션은 직접 설치·관리해야 하는 서비스는?
① IaaS ✅
② PaaS
③ SaaS
④ DaaS
>> 클라우드 서비스 중 사용자가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같은 인프라만 빌려 쓰고, OS와 애플리케이션은 직접 설치·관리해야 하는 서비스는? → ① IaaS
22. 클라우드 서비스 중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(개발 도구, 데이터베이스, 런타임 환경)을 제공하며,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는 서비스는?
① IaaS
② PaaS ✅
③ SaaS
④ NaaS
>> 클라우드 서비스 중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(개발 도구, 데이터베이스, 런타임 환경)을 제공하며,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는 서비스는? → ② PaaS
23. 클라우드 서비스 중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, 웹이나 앱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모델은?
① IaaS
② PaaS
③ SaaS ✅
④ DaaS
>> 클라우드 서비스 중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, 웹이나 앱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모델은? → ③ SaaS
24. 구글 드라이브, MS Office 365, Dropbox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은?
① IaaS
② PaaS
③ SaaS ✅
④ NaaS
>> 구글 드라이브, MS Office 365, Dropbox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은? → ③ SaaS
25. AWS EC2, MS Azure VM, Google Compute Engine은 어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인가?
① IaaS ✅
② PaaS
③ SaaS
④ DaaS
>> AWS EC2, MS Azure VM, Google Compute Engine은 어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인가? → ① IaaS
'Technical Certification > 정보기기운용기능사(과정평가형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정보기기운용기능사 과정평가) 공개 유형별 IP 할당 및 서브넷 마스크 등 정리 (0) | 2025.08.25 |
---|---|
(과정평가) 지필형 모의고사 정답 확인을 위한 PDF 파일 (1) | 2025.08.21 |
[교과 수업] 2학년 NW운영관리 교과 수업자료 - 정보기기기 운영 과정평가 공개 1형 (0) | 2024.09.10 |
[토폴리지] 정보기기운용기능사 과정평가형 작업형 공개문제(1형~7형) (0) | 2024.09.05 |
과정평가 라우터 4가지 라우팅 방식 정리 (0) | 2024.09.04 |